[SQL] 엑셀로 배우는 SQL - 집계함수 (MIN, MAX, AVG, SUM, COUNT)
엑셀에서 표를 다루다 보면, 필터 외에 함수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은 결과들을 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최소, 최대, 평균, 합계, 개수 위 값들을 추출하기 위해서 보통 엑셀 함수를 사용하는데요 MIN, MAX, AVERAGE, SUM, COUNT 함수로 위 값들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SQL에서도 SELECT절에서 집계함수를 이용해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데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집계 함수 집계 함수란, 지정된 범위 내에서 전체 행을 두고 계산을 할 때 사용되는 함수를 말합니다. 주로 쓰이는 집계 함수는 아래 다섯 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그룹함수 등을 통해 별도 범위가 지정되지 않은 이상 '범위'란 전체 행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리고 위 집계함수는 조회할 column들을 명시해두는 영역..
2023. 1. 5.
[SQL] 엑셀로 배우는 SQL - WHERE (=, !=, LIKE, NOT LIKE)
앞서 WHERE 절에 숫자 비교 조건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이번엔 WHERE 절에서 텍스트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엑셀 필터 기능을 텍스트 영역에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나옵니다. 텍스트의 경우 같음, 시작문자, 끝문자, 포함 등의 조건을 제공하고 있죠 앞서 설명드렸지만, WHERE 절이란? SELECT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조회 조건을 명시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WHERE 절을 통해 숫자, 텍스트 비교는 물론 날짜도 비교할 수 있지요 WHERE 절 설명은 앞 게시물인 '[SQL] 엑셀로 배우는 SQL - WHERE (=, >,
2023. 1. 2.
[SQL] 엑셀로 배우는 SQL - WHERE (=, >, <, !=, BETWEEN)
SELECT문으로 데이터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 봤다면, 이젠 조회문에 조건을 붙여볼 차례입니다. 엑셀을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쯤은 사용해 보셨을 엑셀 필터 기능! 숫자의 경우 같음, 크거나 같음, 작음, 크거나 작음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죠. 엑셀에 필터를 적용하면, 그에 해당하는 결과 Row들만 노출되는 것처럼 SQL도 엑셀 필터와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사실 훨씬 더 많은 기능들이 있죠) SQL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조건을 거는 방법! WHERE 절 이번 게시물에선 그 중에서도 숫자 column을 필터링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WHERE 절이란? WHERE절이란 SELECT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조회 조건을 명시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ELECT..
2022.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