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15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5장 05 / 책임과 메시지 왕이 모자장수에게 증언을 요청했을 때, 필요한 행동들을 좀 더 상세하게 요청했다면 어땠을까? 왕이 모자장수에게 "정확히 묘사하라", "표현은 간결하게 하라" 와 같이 상세하게 요청했다면? 모자장수는 본인이 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증언할 수도 있었겠지만, 왕이 상세한 요청을 주는 바람에 행동에 제약이 생겼을 수도 있다. 5장에서는 디테일한 요청(메시지)은 객체 간 협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객체간 협력을 설계할 때 어떤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메시지, 인터페이스 등과 연관지어 설명한다. 자율적인 책임 왕이 모자장수에게 증언을 요청했을 때, 필요한 행동들을 좀 더 상세하게 요청했다면 어땠을까? 모자장수는 본인이 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증언할 수도 있었겠지만, 왕이 상세한.. 2022. 12. 30.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4장 04 / 역할, 책임, 협력 앨리스 왕국에 파이 훔친 범인을 찾기 위한 재판이 벌어진다. 판사 역할의 왕, 법정 안내자 역할의 토끼, 증인 역할의 모자장수. 각 인물들이 재판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협력하는지, 객체지향 세계에서 각 객체들은 또 어떤 협력을 이루고 있는지 설명한다. 협력 앨리스 왕국에 파이 훔친 범인을 찾기 위한 재판이 벌어진다 왕은 토끼에게 목격자를 불러올 것을 요청한다 왕의 요청을 받은 토끼는 응답으로 모자 장수에게 증인석에 입장할 것을 요청한다 토끼의 요청을 받은 모자장수는 응답으로 증인석에 입장한다 왕은 모자 장수에게 증언할 것을 요청한다. 왕의 요청을 받은 모자 장수는 응답으로 알고 있는 내용을 증언한다 재판 과정에서 많은 요청과 응답이 있었다. 재판에 대한 요청을 받은 .. 2022. 12. 29.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3장 03 / 타입과 추상화 트럼프 왕국에 들어선 앨리스는 스페이스 정원사, 클로버 병사, 하트 여왕을 만나게 된다. 앨리스 눈에 이들은 그저 '트럼프'일 뿐이다. 앨리스가 이들을 '트럼프'라고 분류하기까지 어떤 의식의 흐름이 있었고 이를 객체지향 세계에 대입하였을 때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추상화를 통한 복잡성 극복 지하철 노선도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현실을 반영해서 구불구불한 지형, 불규칙적인 역간 거리를 묘사하는게 좋을까 아니면 현실을 추상화하고 역 간의 연결성에 초점을 맞춰 이해하기 편하게 하는게 좋을까 추상화란 현실에서 출발하되 불필요한 부분을 도려내고, 중요한 사물의 본질을 드러나게 하는 과정이다. 추상화를 통해 복잡성을 극복하려면 아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물들간 공통점은 취.. 2022. 12. 28.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2장 02 / 이상한 나라의 객체 책에서는 객체 세계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 '이상한 나라'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2장에서는 앨리스가 어떤 행동을 취하고 어떤 상태 변화를 겪었는지, 앨리스를 객체에 비유하면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해 얘기한다. 이번 장에서는 상태, 행동, 식별자 등 객체 관련 다양한 언어가 등장하는데 따로 정리해두면서 봐도 좋을 듯 하다. 객체지향과 인지 능력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목적은 현실 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 하는 것 객체를 자아를 가진 하나의 인격체로 볼 것 (객체의 의인화) ex. 현실에선 전구가 사람에 의해 켜지지만, 객체 세계에서 전구는 스스로 불을 킬 수 있다. 객체, 그리고 이상한 나라 앨리스 객체 이상한 나.. 2022. 12. 27.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1장 01 /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이 책은 책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가 객체지향에 대해 어떻게 잘못알고 있는지, 실제 객체지향의 세계는 어떤 것이며 그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들 설명하고 있다. 1장은 이 서사를 풀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개념들, 객체란 무엇이고 우리가 어떻게 오해하고 있었으며 객체 세계에서 협력과 책임이란 무엇인지를 말한다. 도입 객체지향 목표에 대한 오해 객체지향의 목표 실세계를 모방하는 것 (X) 사용자를 만족시킬 새로운 객체 세계를 창조하는 것 (O) 실세계 객체와 객체지향 객체는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실세계에 대입하여 비유하는 이유는 객체의 상태와 행위를 설명하기 효과적이기 때문 객체의 상태 : 객체의 캡슐화, 자율성 객체의 관계 :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협력.. 2022. 12. 26. [책 리뷰] 개발자의 글쓰기 책 정보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513595 개발자의 글쓰기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서론 6년동안 SM업무만 해오다가 이직과 동시에 개발 부서에 들어오게 되면서 가장 처음 겪었던 난관 중에 하나가 변수, 메소드 이름짓기였다. 이전까지 내가 해왔던 업무는 고객이 고쳐달란 데이터 긴급반영 해주고, 소스 구현내용 물어보면 설명해주는 정도.. 개발과 거리가 멀었을 뿐더러 애초에 이름짓기가 왜 필요한지도 모르는 수준이었다. 그런데 이 곳에 오고 처음으로 PR 리뷰라는 것을 하게 되면서 좋은 네이밍이 동료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변경 이력을 기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 2022. 12. 25. 이전 1 2 다음